목록IT Study (23)
Game Tech Blog
1. 서버 vs 시스템 - 서버 검토 : 시스템에 대한 이미지가 구체화된 후에 시작하는 것 , 먼저 어떤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스템을 구성할지 정하는 것이 우선이다. - 시스템 구체화 ->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구체적인 요소로 수치화 시킨다. -> 00. 이용자 수 -> 01. 거점 사이트 수 -> 02. 그외 요소 2. 시스템 규모에 따른 구성 변화 - 어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할 것인가? -> 시스템 규모에 따라 변화한다. 관리할 고객 데이터 수가 100명인지 1000명인지에 따라 서버에 추가해야할 메모리, 디스크 수가 증가한다. - 성능에 대한 요구 또한 필수적 -> 시스템 처리 성능의 기준시는 밀리초. -> 최대한 해당 데이터를 고속으로 찾을 수 있도록 구성을 짜는것이 중요 -> 3초 이상 ..
01. PC vs 서버 구성 - 기본적으로 서버는 전원을 끄지 않는다. (24시간 가동이 기본적이다.) - CPU, 메모리, 디스크 유닛 별 교환, 증설이 가능하거나 용이하다. - 각종 부품으로 다중화가 되어있다. (잘 이해가 안가는 부분) [서버 하드웨어 구조] - ex) 랙 마운트 : CPU, 메모리, 디스크 등이 정연히 배치되어 유닛별 교환 용이 02. PC vs 서버 중시 성능 - 출력 성능 : PC > 서버 - I/O 성능 : PC < 서버 - 기본적인 성능 차이를 비교한다면 당연히 PC < 서버 이다. (기본 유닛간 확연한 성능 차이, 유닛 설치 가능 갯수 차이 등등) 03. 서버 OS - Windows Server - Linux - UNIX 계열 04. 서버 사양 - 서버에서 주의할 것은 전..
우리가 쓰던 C++ 에서의 String 과 C#의 String과는 차이가 있다. - 주로 수정 같은 문제.. 오히려 String 과 StringBuilder 가 가깝다고 공부한 적이 있는데 이 부분은 공부해서 채워넣을 예정이다
- TCP, UDP = OSI 7 Layer 의 전송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(응표세전네데물..) - TCP (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) ->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메세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되는 프로토콜 [TCP 특징] 1. 연결 지향 방식으로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 2. 3-way handshaking 과정을 통해 연결, 4-way handshaking을 통해 해제 3. 흐름 제어, 혼잡 제어 4. 높은 신뢰성을 보장 5. UDP 보다 속도가 낮음 6. 전이중(Full-Duplex), 점대점 (point to Point) 방식 TCP는 연결 지향 방식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논리적 경로를 배정. 3-way handshaking과정은 목적지와 수신지를 확..

Binary Search Tree? 레드 블랙 트리를 배우기 전 알아야할 자료구조. 이진 검색 트리는 저장과 검색에 평균 O(LogN) , 최악 O(N) 의 비교적 불완전한 구조를 가진다. 이 불 완전성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균형잡힌 이진트리 이다. 균형잡힌 이진트리로 대표적인 것은 레드 블랙 트리, AVL 트리이다. 여기서는 레드 블랙 트리를 다룬다. 이 Tree 에서 중위 순회(왼쪽자식 -> 부모 -> 오른쪽자식)를 할 때, 다음과 같은 Key를 얻는다. 결과 : 20 -> 30 -> 40 -> 50 -> 60 -> 80 이를 다시 트리에 넣게 되면, 다음과 같은 최악의 구조가 나온다. 이 Depth 를 Balance 있게 잡아줄 트리라고 생각하면 된다. Red Black Tree ? 기본은 ..

Hasing ? - 임의의 길이의 값을 해시함수를 사용하여 고정된 크기의 값으로 변환하는 작업 Hash Table ? -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변환 값을 Index 로 삼아 Key, Value를 저장하는 자료구조 - 기본연산으로는 탐색, 삽입, 삭제 등이 존재 - 저장된 데이터를 찾을 때, hash_function을 한번만 수행하면 array내 저장된 Index위치를 찾아낼 수 있어서 탐색이 O(1) 이다. - 순차 검색에 비해 비교도 안될정도로 빠르다. 해쉬 함수의 알고리즘 - Division Method (나눗셈 법) 입력 값을 테이블의 크기로 나누고 그 나머지를 테이블의 인덱스로 이용하는 알고리즘 // 인덱스 (해시 값) = 입력 값 % 테이블의 크기 - Digit Folding (자릿수 접기) 숫..
Dictionary ? - Dictionary 란 Key, Value 로 나누어진 값으로 이루어져 있다. Python 에서 사용된다고 한다. - Vector, List , Array 에서는 숫자 인덱스로 Value 를 참조했으나, Dictionary 에서는 문자로 값을 참조할 수 있다고 한다. Dictionary Vs Map - 공통 1. Key , Value 를 가지고 있으며, Key로 찾아서 Value를 참조하는 자료구조 2. 중복 Key 값이 존재할 때 값을 넣지 않는다. (중복 Key 불허함, Key의 Unique한 성질을 보장해야함) - 차이 - Map 1. Key값을 기준으로 요소들이 추가,삽입,삭제될 때, 재정렬을 수행한다. 2. 내부가 트리로 구성된다 (레드 블랙 트리로 구성) 3. 트리로..